-
우리 학교 연구진이 차세대 소재 중 하나로 주목받아온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이종구조에서 전도성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발견했다. 이에 웨어러블 기기나 신개념 디스플레이 등의 차세대 반도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형우 교수(물리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이종구조에서 빛과 물을 활용해 전도성을 가역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 내용은 ‘LaAlO3/SrTiO3 이종구조 내 2차원 전자가스의 가역적 광 변환(Reversible Photo-modulation of Two-dimensional Electron gas in LaAlO3/SrTiO3 Heterostructures)’이라는 논문으로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7월호에 온라인 게재됐다. 아주대 이형우 교수가 교신저자로 연구를 주도했고, 성균관대 엄기태 연구교수와 세종대 김성규 교수가 연구에 함께 참여했다.그동안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아 온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이종구조(LaAlO3/SrTiO3(LAO/STO))는 여러 흥미로운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응용소자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안정적인 전도성 제어가 어렵다는 점이 한계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최근 페로브스카이트 이종구조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2차원의 전자가스(2DEG)를 일반적인 전기장이 아닌 빛을 이용해 제어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빛에 의해 증가된 전도도가 빛이 꺼진 후에도 오랜 시간 유지된다는 점에서, 지속적 광전도성(persistent photoconductivity, PPC) 의 특성이 매우 강하다는 사실도 보고됐다. 이러한 특성은 빛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광반응성 메모리(일반적인 전기 신호가 아닌 빛을 이용해 정보의 저장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에 활용이 가능하나, 한번 증가된 전도성을 빠르게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실제 응용소자 개발의 난관으로 여겨져 왔다. 아주대 연구팀은 단결정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이종구조 내 전자가스의 전도도를 UV 빛(자외선)을 이용해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표면처리를 통해 변화된 전도도를 원상복귀 시킬 수 있음을 입증해 내는 데 성공했다. UV 노출 시간에 따라 전자가스의 지속적 광전도성 레벨이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이종구조 중 란타늄 알루미네이트(LaAlO3) 표면이 물에 노출될 경우 전도도는 처음의 값으로 복원됐다. 이에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이종구조의 전도성을 가역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은 것.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란타늄 알루미네이트(LaAlO3) 표면이 물에 노출될 경우, 표면에 붙어있던 수소 이온이 제거되고, 이는 경계면의 산소 공공(Oxygen vacancy) 결함의 이온상태에 변화를 유도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속적 광전도성 현상이 제거됨을 이론적·실험적으로 입증해 낸 것이다. 이형우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이종구조의 가역적 제어 기술은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는 차세대 반도체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당 물질이 투명하고 얇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한 웨어러블 기기나 스마트 윈도우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에의 적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우수신진연구와 기초연구실지원사업(BRL)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실제 UV 빛 아래에서 전도도를 측정 중인 모습UV 빛과 표면 처리를 통한 2차원 전자가스(2DEG)의 가역적 광 변조 연구. (왼쪽) 빛과 물을 이용해 전도도의 가역적 제어가 가능한 LAO/STO 이종구조의 모식도. 이러한 2DEG의 거동은 비휘발성 광메모리 또는 멤리스터 등의 응용소자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오른쪽) 2DEG 전도도가 UV 빛 노출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표면 물 처리에 의해 초기화 됨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 이 결과는 UV 빛과 물을 이용해 2DEG의 전도성을 가역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제일 위 사진 : 이번 연구에 참여한 이형우 교수 공둥 연구팀. 왼쪽부터 엄기태 성균관대 연구교수, 양경모 아주대 학생(석사과정), 이형우 아주대 교수(연구 책임), 김영민 아주대 학생(석사과정), 김도엽 아주대 학생(석사과정), 전재영 아주대 학생(석사), 이민경 아주대 학생(박사)
-
115
- 작성자통합 관리자
- 작성일2023-10-19
- 2343
- 동영상동영상
-
아주대와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공동 연구팀이 카멜레온의 피부와 같이 다채롭게 변화하는 유연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자유자재로 색상을 바꿀 수 있는 데다 유연하며 에너지 효율도 높아 다양한 방식의 대형 디스플레이에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하종현 아주대 기계공학과 교수(사진)는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와 공동으로 새로운 디스플레이 패널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하종현 교수와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샘 터픽 (Sameh Tawfick) 교수 연구팀이 참여했다. 이번 연구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다중형태 질감 변형 디스플레이 시스템(Polymorphic display and texture integrated systems controlled by capillarity)”이라는 논문으로 사이언스(Science)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6월호에 게재됐다.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LED(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와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는 선명한 색상 표현과 빠른 응답 속도를 통해 고품질의 시청 경험을 제공하지만, 대체로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 대부분의 기존 디스플레이는 강하고 고정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 기기가 유연하게 변형되거나 움직이도록 만드는 것이 어렵다. 때문에 웨어러블 기기나 소프트 로봇과 같이 유연한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기술 분야에서 큰 장애로 작용해왔다. 공동 연구팀은 이에 착안해 유연한 고분자(Polymer)로 만들어진 얇고 유연한 판 형태의 구조(지느러미 구조)와 미세 유체를 이용해 물리적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연구했다. 연구를 통해 지느러미와 같은 핀 구조와 액체 방울 사이에서 생기는 유체-고체 간 상호작용의 역학을 파악해 신개념의 유연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새 시스템을 활용하면 핀 구조의 색상과 물성치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이미지의 색상과 패턴을 바꿀 수 있으며,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현저히 적은 에너지로 사용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전력 소모가 현저하게 낮은 LED 보다는 1000배, 별도의 구동 없이도 디스플레이 활용이 가능한 전자 종이 보다는 10배 더 에너지 효율이 높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응용하면 옥외 전광판이나 야외 경기장에 사용되는 대형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다. 통상 대형 디스플레이는 화면 크기 및 밝기 유지하기 위해 많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미세유체 기반의 반사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빛을 발생시키는 소자를 사용하지 않기에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기존 대비 매우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에 개발된 새로운 시스템은 또한 사람이 볼 수 있는 신호와, 적외선 카메라로만 볼 수 있는 신호를 동시에 보낼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 액체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하고, 이러한 접근을 통해 광학 신호에 숨겨진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인코딩 디스플레이 패널에의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로만 볼 수 있는 신호를 사용해 국방 빛 보안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광고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특별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만 제공되는 할인 코드나 특별한 메시지를 광고에 녹여낼 수 있는 것.하종현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면 같은 화면에서 여러 종류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또한 높은 기계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곡선형·부드러운 표면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이어 “새롭고 다양한 분야의 디스플레이, 더욱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진 디스플레이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기존 미디어 기술과 다른 패러다임이 적용된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아주대 연구팀은 이번 연구의 후속으로 디스플레이 및 픽셀의 소형화와 멀티 픽셀의 액체 공급을 위한 통합 시스템을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더 다양하고 효율적인 디스플레이 기술의 가능성을 열어나가겠다는 포부다.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소프트 디스플레이를 이루는 단일 픽셀의 메커니즘. 액체를 천천히 배수하면 핀 구조가 왼쪽 방향으로 변형되고, 빠르게 배수하면 오른쪽 방향으로 변형됨
-
113
- 작성자통합 관리자
- 작성일2023-10-19
- 2271
- 동영상동영상
-
-
111
- 작성자통합 관리자
- 작성일2023-10-17
- 2499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이인환 교수 연구팀이 비닐 고분자의 다양한 요소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 이에 비닐 고분자가 활용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처리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성과는 "헤테로 디엘스-알더 고리화합물을 활용한 리빙 양이온 고리개환 중합법 (Living Cationic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Hetero Diels-Alder Adducts to Give Multifactor-Controlled and Fast-Photodegradable Vinyl Polymers)"이라는 논문으로 화학 분야 저명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F=16.82)> 5월3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는 아주대 채주형 학생(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재학)이 공동 제1저자로, 최민영 학생(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석사 졸업)·손세민 학생(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재학)·고수민 학생(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석사 졸업)이 공저자로 참여했다. 이인환 교수(화학과)는 교신저자로 함께 했다.기존에 활용되는 비닐 계열의 고분자는 한 종류의 단량체(monomer)가 머리-꼬리 위치규칙성(regioregularity)을 지니며 반복적으로 연결된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만약 여러 종류의 단량체가 정확한 서열과 위치규칙성으로 연결된 고분자를 정밀하게 중합할 수 있다면, 고분자의 특성을 다양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고분자의 분자량과 사슬 말단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리빙(living) 중합이 달성된다면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넓어지게 된다.이에 아주대 연구팀은 비닐 케톤(vinyl ketone)과 비닐 에터(vinyl ether)의 디엘스-알더 고리화합물(Diels-Alder Adduct)을 활용한 리빙 양이온 고리개환 중합 개발을 진행했다. 반응의 최적화를 통해 정확한 서열, 독특한 위치규칙성을 지닌 광분해성 고분자를 쉽고 정밀하게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 또 합성된 고분자들이 기존 대비 3배 이상 빠른 광분해성을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이번 연구를 통해 고분자의 여러 가지 구조적 요소들을 조절하여 합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고분자 구조의 변화가 광분해에 미치는 영향까지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인환 교수는 “이번 연구 개발 성과는 앞으로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의 포토리소그래피, 농업용으로 쓰이는 멀칭 필름과 바이오 응용 분야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Carbon to X 기술개발사업, 선도연구센터(MRC)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위 사진설명 : 화학과 이인환 교수, 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채주형 학생 >
-
109
- 작성자통합 관리자
- 작성일2023-10-17
- 2557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인공지능학과 황원준 교수 연구팀이 자율주행을 위한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기법을 제안했다. 황원준 교수 연구팀은 6월18일부터 22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IEEE∙CVF 컨퍼런스(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학회에 참가해 발표했다. 이 컨퍼런스에는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등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했다. 컴퓨터 비전과 딥러닝 분야 최우수 학회 중 하나인 이번 학회에는 총 9155편의 논문이 제출됐고, 그 중 2359편의 논문(25.8%)이 채택됐다.황 교수 연구팀은 자율주행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기법을 제안, 발표했다. 해당 논문의 제목은 "itKD: 3D 물체 감지를 위한 신규 지식 증류 기법(itKD: Interchange Transfer-based Knowledge Distillation for 3D Object Detection)"이다. 이 논문에는 우리 학교 황원준 교수(인공지능학과)와 조현 연구원, 최준용 연구원, 백건우 연구원이 참여했다. 연구팀은 자율주행을 위한 주변 환경 인식의 핵심 기능인 라이다(Lidar) 기반의 3D 물체 검출 알고리즘 복잡도 및 파라미터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지식증류 기법을 제안했다. 라이다는 자율주행차의 눈 역할을 담당하는 이미지 센서를 말한다. 라이다 센서를 통해 신호를 수집해 처리하고, 데이터를 송수신 함으로써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 아주대 연구팀은 오토인코더를 이용해 압축된 차량의 위치와 방향 정보를 증류하고, 압축에서 복원된 정보를 기존과 다르게 선생 네트워크와 학생 네트워크에 교차 증류함으로써 효율적인 지도가 가능하게 했다. 추가적으로 선생 네트워크의 최종 검출 정보를 효과적으로 지식증류하기 위해 전역 그리고 지엽 정보로 나누어서 개별적으로 집중할 특징을 선별하도록 학습 방법을 개선했다. 연구팀은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구글 Waymo 자율 주행 데이터에서 기존 방식에 비해 성능이 우위를 보임을 확인했다. 또 기존의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알고리즘 복잡도를 8배 이상 줄일 수 있었다.한편 이번 연구는 BK21 Ajou DREAM 인공지능 혁신인재 양성사업단, 클라우드 기반 자율주행 AI 학습 SW 개발 및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제일 위 사진 : 위 왼쪽부터 아주대 조현 연구원, 최준용 연구원, 백건우 연구원. 아래 사진 황원준 교수아주대 연구팀이 제안한 교차 지식 증류 방식의 네트워크 구조연구팀의 지식증류 기법으로 8배 복잡도를 줄인 네트워크의 검출 결과 비교 결과
-
107
- 작성자통합 관리자
- 작성일2023-08-28
- 3806
- 동영상동영상